반응형

PE 75

교사공동체, 버디스 수업탐구공동체 활동기 1

2016년 6월 교육부에서 2015 개정교육과정의 현장 조기 착근을 위한 수업탐구 공동체라는 것을 모집 선정한다는 공문이 하달되었다. 모집기간은 약 1주일, 강원도에서만 약100개의 공동체를 선정하고 해당 공동체에 3백만원씩을 지원한다는데 너무 급하게 일을 처리하는 느낌을 지울 수 가 없었다. 300만 * 100개면 3억 아닌가??그즈음에 개정교육과정 선도교원으로 신청한 터이기에 수원에서 열렸던 개정교육과정 선도교원 연수를 참여하기도 했다. 교육부의 설명을 1박2일에 걸쳐 들어보니, 역시나 기존의 내 예상이 크게 틀리지 않았음을 확신했다. 교육과정 개정은 교육을 백년지대계로 보고, 정말 신중하게 접근해야함에도 당해 정부의 성과나 치적 남기기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는 느낌이다.교육의 가장말단에서 학생들을 가..

PE 2016.09.26

티볼 평가방법(개인평가, 모둠평가)

2학년 전체학생수가 14명(남7, 여7), 티볼 평가를 실시해야하는데 타격능력, 수비능력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너무하다. 명색이 연 800만의 프로야구리그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체육시간에 티볼 수행평가방법이 이렇게 지루해서 되겠나,근데 문제는 인원이다. 14명이서 무슨 티볼 경기를 하겠느냐, 그래도 생각에 생각을 거듭해 14명으로도 티볼 경기를 통한 수행평가가 가능하도록 생각해보았다. 다음과 같은 전제 조건이 따르긴하지만, 1. 티볼은 총 10명이 필요한 관계로, 공격은 7명이서 7아웃까지를 실시하고 대신 수비팀에게 대수비 3명을 빌려준다. 대수비는 내야수비나 본루수비를 하게될 경우 의도적으로 결정적 실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외야수에 위치시키고, 열심히 수비역할에 임할 것을 단도리 시킨다.(이건, 개인의..

PE 2016.04.12

수업계획을 학생들에게 공개하라

신학기를 맞이하면 교사들에게 '진도표'를 작성하라는 과제가 주어진다. 말그대로 진.도.표 다.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대략 무엇을, 어떻게, 어떤 순서로, 얼마만큼의 분량으로, 얼마간 가르치겠다는 계획이 세워져야 하는데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구성된 소위 주지교과(국, 영, 수, 사, 과)는 진도표 스트레스를 받을 일이 우리 교과에 비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부러울 때도 있다. 7차 개정 교육과정 부터 '통합'이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더니, 소위 비주지교과(음미체)인 예체능교과의 학문적 위계가 그 누구의 동의 없이 학자들에게 의해 통합 되어져 버렸다. 그 옛날 선현들이 우리의 교육은 백년지대계라고 하질 않았나, 그러나 작금은 교육이 국가를 이끌어나가야함에도 교육이 정권의 교체나 시대적 흐름에 따..

PE 2016.03.06

테니스 수업 단원지도계획

2015학년도 겨울방학의 최대 관심사는 2주짜리 테니스 직무연수 참가가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2016.01.04(월) ~ 15(금)까지 진행된 충북보건과학대 주관 테니스 직무연수는 61시간 짜리 초대형 프로젝트였으니 말이다. 2, 3일 수업을 듣다보니 지도하신 강사님의 테니스 그룹레슨관련 노하우와 수업설계가 보통수준이 아니라는걸 깨닫고 부랴부랴 내용을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꼭 테니스 수업이 아니라도 후에 테니스 스포츠클럽 지도계획으로 활용해도 될 정도로, 현재 엘리트 선수들의 훈련 레시피로 활용해도 될 정도로 다양한 기술을 연습할 수 있게 설계된 것이 이번 연수의 특징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테니스 동호인이라면 레슨과 연습경기사이의 균형에 대한 고민을 누구나 한번쯤은 해봤을겁니다. 우연한..

PE 2016.01.18

[일본의 스포츠 정책 보고서를 읽고] 학생 스포츠클럽대회

2012년이 었나, 학교현장에 체육수업시수를 증대시키려고 학교스포츠클럽이라는 제도를 만들어 냈었지,당장에 학교스포츠클럽 강사라는 직업이 전국 수천개의 중학교에 생겨났고, 한해 지급되는 예산만 500억 정도였다는,문제는 너무 주먹구구식이었다는거다. 이들의 임용 및 계약체결은 당연시, 체육교사들의 몫이었고이들의 임무는 학교스포츠클럽 시간에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어디에서 가르쳐야할지, 어떻게 가르쳐야할지, 무엇을 활용해 가르쳐야 할지, 가르쳐서 뭐할지도 정해지지 않은채 일선학교에 고용되었다.그져 답답했다. 이런 거버넌스라니, 이런 예산 낭비라니, 그 누구도 관리하지 못하는 계약직 일자리가 생겨난것이다. 학교스포츠클럽 대회를 고안해 낸것은 참으로 좋은 생각이었다. 다만, 대회 참가주체를 학교급별로 묶어놔서 학..

PE 2015.09.14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2차) 공청회 후기

문이과 통합교육과정 개발이라는 국가적 요구(개인의 요구인지, 국가의 요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에 의해 새로운 교육과정이 개발 / 발표 되었습니다. 6월에 1차 시안이 8월에 2차 시안이 나왔으니 2015년 9월 발표라는 시기적 과제는 달성했다고 보여집니다. 현장 개발자들의 발표에 따르면 총론과 각론이 동시에 개발된 사례는 처음이라고 하는데요. 그게 가능했던 것은 개발 이전에 윗선에서 원하는 모범정답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게 아닐까 생각됩니다.좀 늬앙스가 흐르네요. 그러나 개발된 시안의 당위와 완성도를 본다면 너무 부정적으로만 몰고갈 문제는 아닌것 같네요. 그럼, 눈에 들어왔던 키워드 중심으로 '2015 체육과 개정 교육과정 시안'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핵심역량 제가 군대에 있을 때 많이 듣던 ..

PE 2015.08.07
반응형